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ookNet
- docker
- 프로그래머스
- ssh
- 티스토리챌린지
- cs231n
- aiffel exploration
- airflow
- docker attach
- docker exec
- IVI
- cocre
- 오블완
- AIFFEL
- 사회조사분석사2급
- 도커
- logistic regression
- WSSS
- 히비스서커스
- GIT
- 기초확률론
- 백신후원
- vscode
- Decision Boundary
- numpy
- Jupyter notebook
- Pull Request
- 코크리
- CellPin
- Multi-Resolution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in Whole Slide Images
- Today
- Total
목록ETC/개발 로그 (4)
히비스서커스의 블로그
우리가 만든 flask 웹페이지가 드디어 구현하고자 한 기능을 다 구현하게 되었다. docker파일에 필요한 패키지 정보를 담고 github에 올리기까지 마쳤다. AWS EC2에서 인스턴스를 하나 시작한 후 이곳에서 git clone한 후 docker 설치 후 docker파일을 실행하였는데 아래와 같이 실행이 되지 않고 다시 명령창이 떴다. 도커에 문제가 있거나 flask를 실행하는 파이썬 파일의 포트 번호가 잘못되었거나 AWS EC2의 서버 연결의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3가지 중 하나라고 생각하였다. 도커와 상관없이 다운받은 flask 관련 패키지가 실행될 수 있도록 관련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anaconda 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conda를 찾을 수 없다고 나왔다. 이는 다음과 같이 해..
CellPin팀의 프로젝트에서의 핵심개념인 CPE와 TCID50에 대해서 한번 정리할 필요를 느껴 정리하게 되었다. 프로젝트에서의 CPE와 TCID50를 설명하기 위한 글이기에 기존의 개념과는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주길 바란다. CPE(Cytopathic Effect) CPE란 Cytopathic Effect로 세포병변효과이다. 세포에서 바이러스의 검출(유무를 확인)할 때 CPE의 유무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CPE가 관측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바이러스가 세포(숙주)에 침입하여 자신의 유전물질(DNA, RNA)를 복제한 후 다른 세포로 감염하기 위해 터뜨리고 나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세포에 다른 바이러스가 감염되었을 경우와 다른 세포에 같은 바이러스가 감염되었을 경우에 ..
6주간 진행되는 해커톤3에서 4주차 째 모델 선정까지 끝나고 Flask에서 웹페이지를 만들기 중반부에 접어들었을 무렵 매우 큰 오류를 발견하게 된다. 바로 Accuracy, Precision, Recall 값이 0.9192로 모두 동일했다. 확실하게 문제가 있다고 느꼈고 하나하나 파헤쳐가기 시작했다. Accuracy, Precision, Recall 값이 동일한 경우 ? Accuracy, Precision, Recall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confusion matrix를 알아야 한다. Predicted Class (예측) Positive Negative Actual Class (실제) Positive True Positive (TP) 정답을 정답으로 예측 False Negative (FN) 정답을 오..
Aiffel의 교육과정이 마무리가 되가며 해커톤 3로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3주가 지나고 4주차째 진행중에 있다. 90%가 마무리되었다고 생각했었으나 데이터 라벨링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여 이 시점을 기점으로 다시 라벨링 및 모델링을 다시해야 한다. 처음에는 굉장히 난감하였으나 3주간 진행하며 하나의 프로세스를 완성해 두었기에 다시 진행하면 되었고, 조급한 마음을 가지기 보다는 다시금 절차를 확인해가며 정리해보기로 하였다. 프로젝트 목표 세포의 이미지를 올려주면 세포의 CPE(Cytopathic Effect) 여부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구별해주고, 바이러스의 양을 의미하는 TCID 50(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50%)을 구해주는 웹페이지를 만들어보자..